2015년 이후 매출·영업익 수직상승...글리아타민 등 완제의약품 사업 호조
대웅의 자회사 대웅바이오가 최근 화려한 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4년 동안 매출은 2배, 영업이익은 5배 이상 성장했다. 완제의약품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성과를 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대웅바이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64억원으로 전년보다 54.4% 늘었다. 매출액은 2767억원으로 12.2%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대웅바이오 설립 이후 최대 규모다.
대웅바이오는 2009년 당시 대웅화학에서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됐다. 대웅의 100% 자회사다.
▲연도별 대웅바이오 매출(왼쪽) 영업이익(오른쪽) 추이(단위: 억원, 자료: 금융감독원)
대웅바이오는 지난 2015년부터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지난 2014년 대웅바이오의 매출은 1318억원, 영업이익은 85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부터 매출과 영업이익이 수직상승했다. 2014년과 비교하면 지난해 매출은 4년새 2배로 늘었고 영업이익은 5.5배 확대됐다.
완제의약품 부문에서 본격적으로 성과를 내면서 실적이 가파른 상승흐름을 탔다. 당초 대웅바이오는 원료의약품의 제조·판매 및 수출입업 등을 목적사업으로 설립됐지만 최근에는 완제의약품 사업에도 적극적인 모습이다.
뇌기능개선제 글리아타민이 완제의약품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의약품 조사 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글리아타민의 지난해 원외 처방실적은 767억원으로 전년보다 22.9% 늘었다. 2015년 74억원에서 3년새 10배 이상 증가했다. 글리아타민은 국내제약사가 내놓은 제네릭 제품 중에서도 가장 많은 처방액을 기록했다.
치매치료제 베아셉트는 지난해 97억원의 처방실적으로 전년보다 2배 이상 상승했다.
글리아타민과 베아셉트는 대웅제약이 판매하던 글라이티린과 아리셉트의 제네릭 제품이다.
글리아타민의 오리지널 의약품은 이탈파마코의 글리아티린이다. 대웅제약이 2016년 글리아티린 원료의약품 사용권리와 상표권이 종근당으로 이전됐다. 아리셉트 역시 원개발사 에자이가 지난해 국내 판권을 종근당에 넘겼다.
그룹 차원에서 대웅바이오가 글리아티린과 아리셉트의 제네릭을 내놓으며 판권 이전에 따른 공백을 최소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웅바이오의 위장약 라비수는 지난해 90억원의 처방액을 기록했다. 라비수는 대웅제약이 판매 중인 알비스의 제네릭이다.
대웅바이오 측은 “완제의약품 사업 지속성장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천승현 기자(1000@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