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터·슈가논' 등 주력제품 상승...전문의약품 매출 21% ↑
1분기 전문의약품 유통물량 증가 착시효과로 2분기 매출부진
▲동아에스티 본사 전경
[데일리팜=안경진 기자] 동아에스티가 올 상반기 실적상승세를 지속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영업마케팅 활동이 부진한 가운데서도 주력제품이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2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9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전환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1116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26.4% 감소했고 당기순손실 94억원을 기록하면서 적자로 돌아섰다.
동아에스티의 2분기 실적이 악화한 배경은 ETC(전문의약품) 매출 급감과 연관된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2월 의약품 등의 판매질서 위반 사유로 총 106개 품목이 1~3개월 판매금지 처분을 받았다. 판매업무 정지는 제약사에서 도매상·요양기관으로 공급이 금지되는 처분이다. 동아에스티는 처분 기간 매출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1분기 처분 대상 의약품의 일정 물량을 사전 공급했다. 그 결과 지난 1분기 전문의약품 매출이 전년동기보다 82.4% 오른 1372억원까지 치솟았다. 전분기 유통물량을 대폭 늘린 데 따른 착시현상으로 1분기와 2분기 실적에 큰 편차가 발생한 셈이다.
상반기 누적매출 기준으로는 긍정적 실적을 나타냈다. 동아에스티의 지난 상반기 영업이익은 436억원으로 전년보다 43.5% 늘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128억원, 당기순이익은 379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6.3%, 22.7% 상승했다.
전문의약품 사업 성장이 상반기 실적상승을 이끌었다. 상반기 동아에스티의 전문의약품 매출은 1835억원으로 작년 1522억원보다 20.6% 증가했다. 작년 말 항궤양제 라니티딘 불순물 파동의 반사이익으로 '동아 가스터' 등 소화기계 제품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주력제품이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코로나19 사태로 올 상반기 소화기과, 정형외과 의약품 매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는 점에서 선방했다는 평가다.
동아에스티의 소화성궤양 치료제 '가스터'는 상반기동안 121억원어치 팔렸다. 지난해 항궤양제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이 불순물 검출로 퇴출된 데 따른 반사이익으로 1년새 매출규모가 137.3% 확대했다. 작년 말부터 일동제약과 공동판매를 시작한 점도 일부 영향을 끼쳤다는 진단이다.
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 '모티리톤'은 올 상반기 145억원의 매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 늘었다. '모티리톤'은 현호색과 견우자에서 얻은 천연물 성분을 약제화한 기능성 소화불량증 치료제다. 위 배출 촉진과 같은 소화 기능 개선과 위순응장애 개선, 위팽창 과민 억제 등의 기능을 나타낸다. 지난해 초 일동제약과 공동판매를 시작하면서 시너지를 냈다는 평가다.
동아에스티가 자체 개발한 DPP-4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 '슈가논'은 올 상반기 매출이 117억원으로 전년보다 112.7% 증가했다. 2016년 3월 발매된 슈가논은 국내에서 DPP-4 억제제 계열 9번째 약물로 출사표를 던졌다. 올해 상반기 에이치케이이노엔과 판매제휴를 맺고 국제 학술지에 임상결과 논문을 발표하면서 매출규모가 큰 폭으로 뛰었다.
동아에스티는 상반기 해외수출이 전년보다 1.1% 증가한 760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캔박카스 등의 수출이 줄었지만 빈혈치료제 다베포에틴알파 바이오시밀러(DA-3880)와 결핵치료제 크로세린 등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상반기 실적감소분을 만회했다.
의료기기∙진단사업 매출은 1.3% 감소한391억원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감염관리 제품 매출이 증가했지만, 수술용 제품 매출 감소로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안경진 기자(kjan@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