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없거나 방문객 신원확인 불투명 시 약국 공개
전국서 방문 약국 급증...약사 확진·격리 사례 늘어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지자체에서 코로나 확진자 방문 약국의 상호명을 공개하고, 내방객 진단 검사를 안내하는 경우들이 늘고 있다.
약국명이 공개되면 방역 소독 후 운영을 재개한 뒤에도 환자 발길이 끊겨 2차 피해가 발생한다.
지역 약국가 및 약사회에 따르면, CCTV가 설치돼있지 않거나 방문객의 신원확인이 불투명한 경우 보건소에서 약국명 공개를 결정한다.
마스크 착용과 가림막 설치 등 내부 방역을 강화했어도 CCTV 미설치 약국은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상호명이 공개되기도 한다.
부산 A약사는 "보건소에서 CCTV를 통해 확진자와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보니 약국명을 공개하는 경우들이 있다"면서 "아직도 CCTV가 없는 곳이 많고, 아크릴가림막은 설치 약국보다 미설치 약국이 더 많다"라고 말했다.
또 일반약 매출 비중이 높은 약국은 현금결제 환자들의 신원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약국명 공개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약국에서 출입명부를 작성해놓는 것이 상호명 공개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접수와 조제, 상담까지 이뤄져야 하는 약국 환경에선 쉽지 않다.
A약사는 "처방환자들은 확인이 되니 문제가 없고, 일반약 환자들 중에서도 카드구입은 확인이 가능하다. 현금으로 사는 사람들이 확인이 되질 않는다"면서 "출입명부를 적으면 의심이 되는 시간대 약국에 방문한 사람들이 전부 파악이 되기 때문에 약국명을 공개할 필요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다만 A약사는 "약국 출입구에 명부를 놓고 적은 뒤 입장하도록 해도 협조율은 낮을 것이다. 결국 내부에 명부를 구비해놓고 쓰도록 해야 하는데 접수와 조제, 상담을 함께 해야 하는 약국에서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확진자 방문 약국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약사 확진과 격리 조치 등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약사회에 따르면, 13일 기준 서울 확진자 방문약국은 2630곳이다. 동선 미공개 지자체까지 감안하면 훨씬 더 많은 수일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도 최근 약사 확진자와 격리자가 나왔으며, 광주에서도 약사 확진자가 처음으로 발생하는 등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약사들은 내부 방역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마스크 착용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약국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해야 한다고 말한다.
서울 B약사는 "확진자가 여러번 방문한 약국들도 있다. 언제 어떻게 찾아올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따로 더 대비를 할 수 있는 것도 없다"면서 "답답하더라도 마스크를 못 벗도록 하고 약국 내부에서 약을 먹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밖에 없다"고 했다.
부산 A약사는 "약을 사고 약국에서 전화를 하거나, 버스를 기다린다고 오래 머무는 환자들이 있다"면서 "보건소에선 확진자가 얼마나 약국에 머물렀는지도 살펴본다. 가능한 환자들이 약국에 오래 머물러 있지 않도록 안내를 해야한다"라고 조언했다.
정흥준 기자(jhj@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