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47곳에서 13일 949곳으로 늘어
지자체 지정약국만 투약안전관리료 3010원 수가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코로나 재택치료 환자가 2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처방 조제를 담당하는 지정약국이 서울에서만 20배 이상 급증했다.
재택치료 처방에 참여하는 동네 병의원이 3717곳으로 늘어났고, 지자체 지정약국만 투약안전관리료를 받을 수 있어 신청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환자에게 약 전달하는 비용도 지정약국에 한해서만 보전된다.
최근 중수본은 재택치료 지정약국을 확대 운영하기 위해 각 자치구로 수요 파악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9일 기준 47곳이었던 서울시 재택치료 지정약국은 949곳으로 증가했다. 현재 약국을 취합중인 지역도 있어 지정약국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다만 일부 자치구에서는 약 배달비용 보전 부담으로 인해 지정약국 확대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13일 기준 서울 25개구별 지정약국 수는 ▲강남 3곳 ▲강동구 54곳 ▲강북구 30곳 ▲강서구 29곳 ▲관악구 2곳 ▲광진구 43곳 ▲구로구 8곳 ▲금천구 18곳 ▲노원구 94곳 ▲도봉구 14곳 ▲동대문구 2곳 ▲동작구 4곳 ▲마포구 2곳 ▲서대문구 71곳 ▲서초구 40곳 ▲성동구 143곳 ▲성북구 2곳 ▲송파구 150곳 ▲양천구 81곳 ▲영등포구 6곳 ▲용산구 25곳 ▲은평구 15곳 ▲종로구 2곳 ▲중구 19곳 ▲중랑구 93곳이다.
서울 구약사회 관계자는 "같은 건물 의원에서 재택치료 환자 처방을 내기 시작하니까 참여를 하려는 약국들이 많아진다. 우리 구에서는 취합된 약국들은 전부 참여하는 것으로 얘기가 됐다"고 했다.
재택치료 환자 처방의 경우 대리인(가족 등 보호자, 공동격리자 등) 수령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다만 대리인 수령이 불가능하다면 지역 약사회와 보건소가 협의한 방법으로 전달을 진행한다.
서울 또다른 구약사회 관계자는 "우리 구에서는 보건소의 지정약국 확대 지침 안내가 늦었다. 현재 약사회에서 취합중이다. 다만 보건소에서는 대리인이 약을 수령하는 방법으로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는 방향이고, 배달비 보전 부담으로 약국 수를 무작정 늘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라고 전했다.
정흥준 기자(jhj@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