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처방도 적극 중재"…환자 안전 위해 강화되는 약사 역할
기사입력 : 17.09.21 12:14:45
0
플친추가
서울대병원 임정미 약사, 메디케이션 에러 예방 활동 소개



 ▲임정미 서울대병원 소아조제파트장

처방에서 조제, 투약, 복약지도로 이어지는 전 과정에서 메디케이션 에러를 줄이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약사 역할이 강화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약제부 임정미 소아조제파트장은 21일 인천 네스트호텔에서 열린 '2017 병원 약제부서 중간관리자 연수교육'에서 서울대병원의 환자 안전 활동 사례를 소개했다.

임 파트장은 이날 환자 안전을 위해 약제부 내에서 추진 가능한 메디케이션 에러를 줄이기 위한 방안과 노력을 소개했다.

서울대병원은 2010년부터 약제부 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조제과장이 위원장으로 각 부서에서 한명이 참여하고 있다. 위원회는 매월 회의를 통해 조제오류 분석, 개선 활동을 논의하고, 주요 처방중재 내역 등을 공유하고 있다.

처방 과정에서부터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약사의 처방중재 역할도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약제부에서는 처방 오류 개선을 위해 EMR상에 오더를 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10세 이하 소아 환자의 입원 후 첫 디곡신 처방시에는 주의 팝업이 뜨도록 제공하거나 과용량을 제어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또 의료진 대상 약물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임 파트장은 "서울대병원에서는 연평균 1500여건의 처방중재가 진행되고 있다"며 "요즘에는 의료진이 약사에 문제 있는 처방을 왜 못걸렀니라고 책임을 묻는 경우도 있다. 그만큼 약사들의 처방중재 책임이 중요해 지고 있는 것이다. 중재 후에는 그 내용에 대해 근거자료를 남겨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제오류 예방을 위한 약제부 내부적인 활동도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조제오류가 발생했을 시에는 그 과정과 내용, 대책 등을 구체적으로 적은 메디케이션 에러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조제 오류를 유발하는 문제 의약품에 대해선 제조회사에 개선을 요청하고 있다.

유사한 색상이나 모양으로 조제실수를 유발하는 약품 라벨 또는 포장 형태 등에 대한 개선 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약제부 내부 약사들 사이에서도 조제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자칫 헷갈릴 수 있는 약의 경우 약장에 눈에 띄게 주의 문구를 부착하거나 실물약이나 약 사진을 약장에 주의문구와 함께 부착해 두기도 하고 있다.

임 파트장은 "실수를 유발하는 약을 지속적으로 제조사에 개선을 요청하지만, 어느 한 병원의 문제제기만으로는 개선이 쉽지 않다”면서 “많은 병원에서도 관심을 갖고 문제 제기에 동참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약사 대상 조제 교육도 점차 강화되고 있는 분위기다. 교육 중에는 메디케이션 에러, 처방중재 사례, 신약 정보나 약품 품절, 변경 등 제반사항에 대한 공지 등이 이뤄진다.





더불어 약제부 내부적으로 이종 이상 함량 또는 제형 약품, 고주의, 고위험 의약품에 대해선 약사들이 지속적으로 암기하고 공부하도록 해 테스트를 실시하고, 일정 점수를 통과하지 못한 약사는 계속 재시험을 보도록 하고 있다고 했다.

투약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활동도 진행되고 있다. 약사들이 입원실에서 환자들에 약을 투약하는 간호사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가 하면, 이들이 자칫 실수할 수 있는 부분에 개선활동을 펼치고 있다.

임 파트장은 "무엇보다 환자 안전을 위한 문화 조성이 중요하다. 조제, 처방오류가 어떻게 예방되고 개선될 수 있는지 조제실 내부에서 당연히 이야기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환자안전 슬로건 공모전이나 슬로건 선포식을 하고 스티커 부착하고 뺏지를 부착하는 등의 활동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지은 기자(bob83@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처방도 적극 중재…환자 안전 위해 강화되는 약사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