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병원이 처방조제 사실상 독점…대만약국, 생존경쟁
기사입력 : 17.10.31 12:14:55
1
플친추가
서울시약, 대만 대형약국 탐방...선택분업 폐해 절감



"하루 조제건수는 10건 정도에요. 거의 없다고 봐야죠."

쌍궤분업(Two Tier System)으로 의료기관에서도 조제가 가능한 약업환경에서 대만약국들은 헬스와 뷰티 제품에 치중하면서 독자 생존의 길을 걷고 있었다.

서울시약사회(회장 김종환)는 26~29일 대북약사공회를 방문하고 대북지역 대형약국 2곳을 탐방했다.

 ▲미강약국 전경

 ▲의약품 진열대


대만은 약국이 의료기관 안에 있든 의료기관 밖에 있든 조제는 약사가 담당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직능분업의 형태로 운영된다.

처방은 의사, 조제는 약사가 담당하지만 의사가 의료기관 내에 약국을 개설해 약사를 고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의료기관 안의 약국에서도 조제를 받을 수 있으며 원외 약국에서 조제를 받을 수도 있다. 현지에서는 이를 쌍궤분업(Two Tier System)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명 선택분업이다

미강약국은 체인형태로 운영되며 올리브영 등 국내 H&B스토와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됐다.



 ▲조제가 가능하다는 간판과 조제실


다만 국내에서 일반약을 유통 중인 제품인 진통제, 파스, 감기약 등을 전진 배치해 판매 중이었다. 의료기기, 화장품, 분유 등 다양한 생필품도 필수 아이템이다.

현지 가이드는 "병원에서 진료와 조제를 다 받기 때문에 약국에 조제를 받기 위해 잘 오지 않는다"며 "특히 치과들이 돈을 굉장히 잘 버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미강약국의 하루 조제건수는 10건 정도. 조제만으로는 생존이 불가능한 구조다.

그러나 대형자본의 드럭스토어들이 곳곳에 자리잡고 있어 토종 약국체인들도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왓슨스는 약국과 연계해 주요 상권에 진출해 있어 토종약국과의 경쟁이 치열하다.

 ▲계산대 안쪽에 진열된 의약품들

 ▲휴대용 약통 판매대


대만 약국을 탐방한 국내 약사는 "여러번 대만약국에 와봤지만 크게 배울것은 없다"면서 "제도 자체가 직능분업이기 때문에 자영약국들이 생존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결국 직능분업의 결과는 대만약사들에 참담했다. 2013년 기준으로 채널별 의약품 유통 점유율은 병원이 1120억NTD(77.8%), 드럭스토어 240억NTD(15.6%), 클리닉 80억NTD(6.6%) 순이었다. 372개 병원이 5492개의 약국(드럭스토어)를 압도하고 있는 셈이다. 대만약사들이 한국의 기관분업을 부러워 하는 이유다.
강신국 기자(ksk@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 환인제약(주) 5월 수시채용(5/14(수) 13:30까지) 바로가기
  • (안연케어)원주 의약품 물류센터 관리약사 채용 바로가기
  • OTC제품 운영 및 관리 바로가기
  • Product Manager (Vyepti) 바로가기
  • 명문제약(주) 고형제 팀장 인재모집 바로가기
  • [동국제약] 신입/경력 채용(헬스케어/개발/글로벌/영업/마케팅/디자인/물류) ~ 5/21 바로가기
  • 화성 향남 제조/품질관리 부문별 약사 채용 바로가기
  • 안산 QA 매니저(경력 3년↑) 채용 바로가기
  • 충북 음성 관리약사(제조/품질) 경력무관 바로가기
  • 2025년 정기 공채 바로가기
  • R&D센터 연구원 채용(경력무관) 바로가기
  • MSL - Oncology 바로가기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임기제공무원(약사) 임용계획 공고 바로가기
  • 화성 향남 제조관리약사 (경력 7년↑) 채용 바로가기
  • 품질보증팀장, 품질관리약사 모집 바로가기
  • 제이씨헬스케어 전주지점 관리약사님 모집 바로가기
  • 대단하네요.. 의사는 거의 신이겠네요 대만에서
    17.11.01 17:03:06
    0 수정 삭제 0 0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병원이 처방조제 사실상 독점…대만약국, 생존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