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HPV 백신 수요 급증…'가다실' 글로벌 매출 55%↑
기사입력 : 18.10.30 12:23:29
0
플친추가
FDA, '가다실9' 접종연령 27~45세로 확대…지속성장 가능성 높여



 ▲MSD의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9(왼쪽)과 가다실


MSD(미국 머크)의 자궁경부암(HPV) 백신 '가다실' 프랜차이즈가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거뒀다.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 백신접종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효과다. 이달 초 가다실9의 접종연령이 확대됨에 따라 당분간 이 같은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MSD가 최근 공개한 3분기 경영실적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4가백신)'과 '가다실9'은 전년동기(6억7500만달러) 대비 55% 오른 10억4800만달러의 분기매출을 기록했다.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 자누메트' 다음으로 높은 실적을 올리며 제약부문 매출성장에 기여했다. GSK의 '싱그릭스' 발매로 타격을 입고 있는 대상포진 백신 '조스타박스'의 매출감소분을 메꾸는 효과도 나타냈다.

MSD 제약사업부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91억5600만달러) 대비 5% 오른 96억5800만달러로 집계됐다.

 ▲MSD의 품목별 분기실적 현황(출처: MSD 2018년 3분기 실적발표)


회사 측은 이 같은 성장의 원인을 유럽과 중국의 백신수요 증가에서 찾는다.

국제백신기구(GAVI)의 정책변화로 인해 자궁경부암 백신접종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시장 진출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호주와 같은 국가들이 '자궁경부암 박멸'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준까지 백신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MSD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백신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호주의 사례가 다른 국가에 모범사례로 제시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자궁경부암 백신의 수요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 밖에 작년 3분기 매출이 기대치보다 적었던 것도 큰 폭의 성장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MSD는 지난해 6월 발생한 사이버공격으로 제품생산이 일시중단되면서 약 1억3500만달러의 매출손실을 기록했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소아백신 비축에 따른 차용금액(약 2억4000만달러)도 지난해 3분기 매출액에 반영된 바 있다.

콘퍼런스콜에 참석한 MSD의 글로벌휴먼헬스사업부 아담 셰터(Adam Schechter) 총괄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자궁경부암 백신 수요가 유례없이 증가하고 있다. 작년에만 2배가량 늘어난 상황"이라며 "특정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관련 암에 대한 항암백신으로서 가다실의 가치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달 초 미국에서 '가다실9'의 접종연령대가 확대된 점은 장기적인 시장성장에 긍정적 요소로 평가된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이달 초 '가다실9'의 접종대상을 9~26세에서 27~45세 남녀로 확대했다. 27~45세 여성 3200여 명을 평균 3.5년동안 추적한 결과 HPV와 연관된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전암 병변, 외음부암, 질암, 생식기사마귀 등을 88% 예방한다는 임상 결과가 반영된 결과다.

접종연령 확대에 따른 추가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MSD는 가다실 생산시설을 확충한 것으로 알려졌다.

셰터 사장은 "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국제백신기구의 정책변화로 자궁경부암 백신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미국에선 최근 가다실9의 접종연령대가 확대됐다. 이 2가지 요소가 합쳐지면서 백신사업부의 강력한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안경진 기자(kjan@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HPV 백신 수요 급증…가다실 글로벌 매출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