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실적 부진' 일동제약 돌파구는 신약개발과 일반약
기사입력 : 20.02.18 06:20:40
0
플친추가
연 500억원 ‘GSK 일반약’+재고조정 끝낸 ‘아로나민’ 기대감

장기적으론 신약개발 방점…난소암치료제·편두통치료제 관심

17일 투자자 대상 IR 설명회…단기·장기 전략 공개


[데일리팜=김진구 기자] 지난해 실적 부진을 경험한 일동제약이 반전을 꾀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지난해 말 확보한 GSK 일반약 판권을, 장기적으로는 신약개발을 중심으로 실적회복에 나설 방침이다.

일동제약은 17일 오전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IR 설명회를 열었다. 지난해 영업실적에 대해 설명하고, 올해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 회사의 2019년 영업이익은 85억원에 그쳤다. 2018년 276억원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감소율로는 69.2%다. 지주회사로 전환한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작년 4분기 큰 폭의 실적악화가 전체에 영향을 끼쳤다. 4분기 들어 매출이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2018~2019년 분기별 일동제약의 매출과 영업이익(단위 억원, 자료 일동제약)


◆전문약·일반약 동반 부진…큐란 공백+아로나민 재고조정

4분기의 실적악화는 전문약과 일반약(컨슈머헬스케어 포함)을 가리지 않고 나타났다. 전문약의 경우 4분기 매출 730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 4분기 763억원에 비해 4.3% 감소했다.

간판품목 큐란의 공백이 뼈아팠다. 매년 200억원 매출을 올리던 큐란은 라니티딘 사태와 함께 시장에서 퇴출됐다. 일동제약은 동아ST와 손잡고 가스터를 공동판매하기 시작했지만, 공백을 메우기엔 역부족이었다.

의약품 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큐란의 매출은 3분기 47억원이 모두 증발했다. 반면, 가스터는 3분기 8억원에서 4분기 20억원으로 12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스터와 큐란의 분기별 매출(단위 억원, 자료 유비스트)


일반의약품도 다소 부진했다. 2018년 4분기 매출 461억원에서 작년 4분기 438억원으로 4.9% 줄었다.

간판 일반약 아로나민 시리즈가 재고조정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다소 매출이 줄었다. 비타민B 제품간 경쟁심화도 한 몫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 지난해 대웅제약·녹십자를 비롯한 여러 제약사가 1위 품목인 아로나민을 잡기 위해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연 500억원 'GSK 일반약' 장전…화장품·건기식 기대감

일동제약의 반전카드는 뭘까. 우선 단기적으로 일반약 부문에서 실적회복을 노린다.

특히 GSK의 일반약 9개 품목에 대한 기대가 크다. 일동제약은 지난해 12월 GSK 컨슈머헬스케어와 코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테라플루(종합감기약), 오트리빈(이비과용제), 드리클로(다한증치료제), 센소다인(치약) 등 9개 품목이 대상이다.

이들의 2018년 기준 매출액은 460억원이다. 감소세에 있는 일반약 매출에 당장 숨통을 틔워줄 것이란 예상이다. 다만 전문약에 비해 마진율이 낮다는 점은 여전한 고민으로 남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동제약 IR 발표자료 중 일부.


재고조정을 끝낸 아로나민 시리즈가 재도약할지도 지켜볼 부분이다. 이번 재고조정이 신규 라인업인 아로나민케어 출시로 인한 점을 감안하면, 기존 아로나민 시리즈와 시너지를 낼 것이란 기대가 크다.

새롭게 진출한 화장품·건강기능식품 분야에 대한 기대도 크다. 기능성화장품 '퍼스트랩'과 건기식 '마이니' 등 컨슈머헬스케어 매출은 2017년 132억원, 2018년 251억원, 2019년 351억원으로 성장세가 가파르다.

◆난소암치료 후보물질 연내 미국2상 IND 도전

길게는 정공법을 택했다. 신약개발이 일동제약의 장기전략이다.

기대가 가장 큰 것은 기대가 가장 큰 것은 'IDX-1197'로 이름이 붙은 표적항암제 후보물질이다. 난소암·유방암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전임상에선 잠재적 경쟁제품인 린파자에 비해 객관적반응률(ORR)이 높고, 소화기계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동제약은 올 하반기 미국 임상2상 IND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CV-06'과 안과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IDB0062', 바이오항암제 'IDB0076', 당뇨병치료제 'IDG16177' 등은 현재 전임상단계에 있다.

비교적 가깝게는 도입신약인 '라스미디탄'이 있다. 라스미디탄은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새로운 계열의 편두통치료제다. 지난해 10월 미국 FDA 허가를 받은 뒤, 최근 미국시장에선 판매를 시작했다.

일동제약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8개국에서 라스미디탄의 판권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에선 가교임상을 거쳐 이르면 내년 발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편두통치료제의 경우 그간 미충족 의료수요가 분명했던 만큼, 출시가 될 경우 실적회복에 힘을 실을 것으로 일동제약은 기대하고 있다.

 ▲일동제약 파이프라인(자료 일동제약)


김진구 기자(kjg@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실적 부진 일동제약 돌파구는 신약개발과 일반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