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파자'와 동일 결론…대상 환자 등 적응증 범위 넓어
'제줄라' gBRCA 음성도 회의적…2021년 재논의 기대
[데일리팜=어윤호 기자] 정부가 PARP저해제의 유방암 관련 보험급여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화이자의 '탈제나(탈라조파립)'는 지난 25일 열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에 상정됐으나 고배를 마셨다.
탈제나와 같은 PARP(poly ADP ribose polymerase)저해제의 유방암 적응증의 범위가 방대한 편인 만큼, 보험당국의 고민이 적잖은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암질심은 아스트라제네카의 '린파자(올라파립)'의 상정 당시에도 유방암 적응증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결론을 내렸다. 이로써 PARP저해제의 유방암 급여 논의는 내년을 기대할 수 밖에 없게 됐다.
두 약물의 유방암 적응증은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린파자는 ▲이전에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있는 유방암감수성유전자(gBRCA) 변이, 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HER2) 음성 전이성 유방암 성인 환자이며 탈제나는 여기에 국소 진행성 환자가 추가된다.
이들 약제의 적응증은 치료옵션이 부족한 삼중음성유방암(TNB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학계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또 다른 PARP저해제인 다케다의 제줄라의 경우 아직 유방암 적응증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다만 제줄라의 경우 ▲gBRCA 음성인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에 완전·부분 반응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고도장액성 난소암의 단독 유지요법, 즉 '올커머' 적응증을 갖추고 있는데 정부는 해당 영역에 대한 급여 논의 역시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상태다.
한편 탈제나의 유효성은 이전에 최대 3차까지의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있는 gBRCA 변이가 있는 HER2 음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 431명을 대상으로 탈제나 단독투여군과 연구진이 선택한 항암화학요법 투여군을 비교 평가한 오픈라벨, 무작위, 다국가 대규모 3상 임상연구인 EMBRACA를 통해 입증됐다.
EMBRACA의 1차 평가 변수인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은 탈제나 단독투여군에서 8.6개월로, 항암화학요법 투여군의 5.6개월 대비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탈제나 단독투여군은 항암화학요법 투여군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이 4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윤호 기자(unkindfish@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