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복지부 보건의료발전협의체서 문제점 지적
한시적 비대면 진료 관련 비급여·의약품 오·남용 개선방안 제안
김동근 부회장, 플랫폼 통한 과잉 비대면 진료 자료 공개
[데일리팜=강신국 기자] "감기부터 피임약까지 모든 조제약 배달 됩니다."
비대면 진료와 조제약 배송 플랫폼 업체들의 과잉 불법영업이 정부 회의 의제 올랐다.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는 7일 열린 복지부 보건의료발전협의체 회의에 코로나19 한시적 비대면 진료 관련 비급여·의약품 오·남용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회의에 참석한 김동근 부회장은 비만, 발기부전, 탈모, 향정약 처방 등 무차별적으로 자행되는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진료 증거 자료를 공개했다.
김 부회장 "관련 자료를 공개하니 회의에 참석한 의료단체와 복지부 관계자도 깜짝 놀랐다"며 "현 상황의 문제점에 대해 100% 공감했다"고 말했다.
▲비대면 진료와 조제약 배송 플래폼 업체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약사들의 1인시위
김 부회장은 "코로나 위기 상황에 만성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감염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불가피할 때 하자는 게 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 아니었냐"며 "그러나 일부 업체들이 이를 악용해서 상술을 극대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의사협회 등도 의료용어를 사용하는 플랫폼 업체 광고는 의료광고와 같이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복지부도 비대면 진료 제도화 논의 과정에서 진료대상, 제공기관 등을 명확히해 오·남용을 최소화하고, 국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은 관련 규정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와 의료단체들이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의 심각성을 인지한 만큼 어떤 후속 대책이 마련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회의에는 이창준 보건의료정책관을 비롯해 보건의료정책과장, 의료인력정책과장, 의료자원정책과장, 약무정책과장, 보건의료혁신팀장이 참석했고 이상운 대한의사협회 부회장, 송재찬 대한병원협회 부회장, 홍수연 대한치과의사협회 부회장, 이진호 대한한의사협회 부회장, 김동근 대한약사회 부회장, 곽월희 대한간호협회 부회장이 배석했다.
강신국 기자(ksk@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