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온라인몰 보다 저렴하게 책정된 온라인 판매가
"반품 불가 정책 등에 수요 예측도 어려워"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무증상자 등에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진단검사 속도를 높이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약국 시장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확진자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 검사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기존 PCR검사를 위한 인력 상황 등 현실적 한계를 보완하려는 조치의 일환이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지난 7일 "감염 가능성이 높은 경우 기존처럼 PCR검사를 진행하되, 무증상자 등에 대해서는 신속항원검사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식으로 진단검사에 우선순위를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보조적'으로 국한되던 자가검사키트 사용이 보편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간 식약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제품 사용 이전이나 결과와 무관하게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약국가는 자가검사키트가 보편화될 경우 약국 등에서의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A약국은 "그동안은 선별검사소에서 무료로 검사를 해줄 뿐만 아니라 검사결과가 PCR검사로 인정되지 않아 사실상 약국에서는 계륵이었다"며 "전체적인 확진자 수와 기온 등에 따라 판매량 등에도 영향을 받았었는데, 자가검사키트 결과를 인정해 준다면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A약국은 가격 경쟁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약국의 온라인몰 구입가가 사실상 소비자가 인터넷에 접속해 살 수 있는 가격과 비슷하거나 더 저렴하다 보니 가격 경쟁이 우려된다는 것.
이 약국은 "자가검사키트 시장은 매번 그래왔었다. 지난해 4월 30일경 자가검사키트가 약국에 첫 도입될 당시만 해도 엄청난 관심을 받았지만 일주일 뒤에 마트, 편의점, H&B스토어, 인터넷 등으로 풀리면서 약국은 가격 스트레스를 받아왔었다"고 말했다.
일부 약사들의 경우 온라인몰을 통해 마진 없이 공급가 대로 판매했고, 이 과정에서 제대로 된 모니터링 등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B약국도 "현재 온라인몰에서 판매되는 1키트, 2키트 가격이 사실상 일반인들이 각종 온라인몰을 통해 구입할 수 있는 가격이라고 해도 무관하다"며 "오히려 더 저렴한 품목들도 있다"고 말했다.
이 약국은 "여기에 온라인의 경우 10개, 20개는 물론 300개, 480개 단위로도 제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개당 단가는 훨씬 저렴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새 지침이 약국에 얼마나 긍정적으로 작용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온라인몰들의 반품불가 정책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몰이나 도매업체들이 현재 자가검사키트에 대해 반품불가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수요를 예측할 수 없는 약국 입장에서는 이같은 정책이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부당하게 느껴진다는 것.
이 약국은 "아마 수요가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직접적으로 사재기를 하는 약국은 드물 것"이라며 "언론 등을 통해서도 문제제기가 됐지만 여전히 해법은 요원한 것 같다. 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혜경 기자(khk@dailyphar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