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돈내산 기자 체험기] '약국과 패키징 차별화'느낌은 없어
OPP 비닐에 1회분씩 소포장…폐기용 비닐봉투는 미포함
"구입 문의 몰려.. 키트 오전 8시 도착하면 9시경 매진"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어제(15일)부터 코로나 자가검사키트 소분 판매가 편의점에서도 시작됐다. 13일부터 소분이 시작됐던 약국보다 이틀 가량 늦었지만, GS25와 CU를 시작으로 7개 편의점 체인에서도 키트를 취급·판매하게 된다.
'24시간 연중무휴인 편의점이 우선공급대상에서 제외된 처사는 누구도 납득할 수 없다'며 '소비자의 접근성과 편리성이 매우 뛰어나 국가 재난 발생시 거점 활용에 유용하기 좋은 편의점에서 키트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지난 9일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성명과 같이 편의점에서도 취급이 가능해진 것이다.
'편의점은 물류창고에서 포장돼 온다', '편의점용은 2개씩 박스로 포장돼 있다', '체인마다 자체적으로 패키징을 해 약국 판매용과는 차별화될 거다'라는 온갖 추측들이 제기된 가운데 직접 편의점에서 코로나 자가검사키트를 구입해 봤다.
▲15일 서울 중구 소재 GS25에서 구입한 코로나 키트, OPP 비닐봉투에 소분돼 있다.
서울 중구 편의점들을 돌아본 결과, 편의점도 '키트 대란'이라고 입을 모았다. '키트가 있느냐'는 소비자 문의가 잇따르며 수요를 체감할 수 있다는 것.
CU 편의점주는 "오전 8시경에 물류가 도착했다. 오늘은 20개가 들어와 각각 소분을 했고, 9시경 판매가 끝났다"고 말했다. 출근 시간대에 키트가 도착하면서 '지금 구입이 가능하냐'는 문의가 일부 있었고, 한 사람당 2~3개, 많게는 최대 수량인 5개를 구입해 가면서 공급된 수량이 동나게 됐다는 것. 인근에 위치한 GS25 역시 "오전에 물건이 들어오기 때문에 일찍 와야 재고가 있다"고 조언했다.
▲'자가검사키트 판매점'이라고 명시된 편의점.
'자가검사키트 판매점'이라고 명시된 또 다른 GS25에서는 키트 구입이 가능했다. 이 편의점은 마스크나 상비약 등과 별개로 카운터 안쪽에 제품을 놓고 판매하고 있었다.
이 편의점주는 "20개짜리 한 박스가 들어와 소분을 하고 다시 벌크 포장 상자에 담아, 물어보면 집어줄 수 있도록 옆에 비치해 뒀다"고 말했다.
이날 GS25가 편의점에 공급한 물량은 래피젠 제품으로 '약국 소포장 제품과 차별화돼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OPP 비닐봉투에 들어 있었다.
봉투 안에는 검체채취용도구와 검체추출액, 점적용 필터마개, 디바이스, 간이 설명서가 들어 있었다. 약국에서 넣어주는 폐기용 비닐봉투는 빠져 있었다. 판매가격은 식약처 지침대로 6000원이었다.
한 편의점 관계자는 "14일부터 발주를 받았는데 상당수 편의점에서 취급 의사를 밝혔다. 키트 판매가 약국과 편의점으로 국한되다 보니 편의점들 역시 관심이 많은 상황"이라며 "본사에서 OPP비닐봉투 등을 함께 제공하고 있고, 점포에서 직접 포장하는 형태다. 포장에 5분도 채 걸리지 않다 보니 특별한 반발 등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편의점당 제공되는 물량이 15일의 경우 20개로 매우 적었기 때문에, 발주량을 늘려달라는 요구가 있어 물량 확보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 역시 내일(17일)부터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마트24의 경우 휴마시스와 수젠텍 제품을 취급하게 될 전망이다.
한편 약사회는 의료기기 판매업 신고를 득한 편의점 이외에도 전체 편의점에서 코로나 키트를 취급토록 한 데 대해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
약사회는 "의료기기 판매업 신고를 득한 편의점은 정상적 관리 하에 판매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모든 편의점에 이를 허용하고 아르바이트 인력이 3등급 의료기기 포장을 뜯고 손을 대서 혼합 판매하도록 한다는 조치는 보건의료 전문가 단체 입장에서는 상상할 수 없고 있어서도 안되는 발상"이라며 "의료기기를 취급해본 적도 없고 의료기기 안전관리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는 아르바이트 인력이 소분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는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혜경 기자(khk@dailyphar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