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보건소 "병원장 건물 구내약국 간주"...법원 "문제없다"
기사입력 : 22.03.16 06:00:35
6
플친추가

약사, 보건소 상대 약국개설등록 거부처분 취소 청구 소송

서울행정법원 "병원과 같은 건물에 있을 뿐, 공간적으로 분리"



[데일리팜=김지은 기자] 지역 보건소가 병원장 소유 건물 1층의 약국 개설을 저지한 데 대해 법원은 적법한 처분이 아니라고 판단, 처분 취소를 주문했다.

서울행정법원은 최근 A씨가 지역 보건소장을 상대로 제기한 약국개설등록 거부처분 취소 소송에서 A약사의 손을 들어줬다. A약사의 약국 개설이 적법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법원에 따르면 사건의 약국 개설이 시도됐던 건물은 지하 2층, 지상 9층의 신축 건물로, 약국 개설등록이 거부됐을 당시 건물 1층 중 일부는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나머지 1층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편의점과 커피숍이 입점해 있었다.

2층은 제1종 근린생활시설로 의원 입점 예정으로 공실이었다가 약국 자리 개설등록이 불허된 이후 치과가 개설 신고를 해 운영되고 있었다. 건물 지하 1, 2층과 지상 3층부터 9층에는 B병원이 입점돼 운영되고 있었다.

문제의 약국 자리는 건물 1층 가장 왼쪽에 있었고, 건물 주 출입구와의 사이에는 커피숍, 편의점이 있었다.

B병원은 건물 주 출입구를 통해 건물 내부로 들어간 뒤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이용해 출입이 가능했고, B병원에서 약국 자리 상가로 가기 위해선 일단 주 출입구를 통해 건물 밖으로 나간 후 다시 약국 자리 상가 정면 출입구로 들어가야 하는 구조였다.
X
AD
비맥스 상담 매트릭스 이벤트참여 →

이 같은 건물 구조에 대해 지역 보건소 측은 B병원 병원장이 해당 건물 소유자인 점 등을 감안해 사실상 해당 건물이 전체적으로 B병원의 시설로 볼 수 있단 측면에서 ‘B병원의 시설 안 또는 구내’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의 판단은 달랐다. 우선 이번 사건과 관련 법원은 의료기관 외래환자에 대한 원외조제를 의무화하기 위해 약국과 의료기관을 공간적, 기능적으로 독립된 장소에 두고자 하는데 있다는 입법 취지를 전제 했다.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위와 같은 취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법원은 약국이 의료기관에 종속되거나 약국과 의료기관이 서로 담합하는 것을 방지하려는데 입법 취지가 있는 것이지, 약국을 의료기관이 들어선 건물 자체로부터 독립시키려는 데 있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법원은 “이 사건 상가는 B병원과 같은 건물에 위치할 뿐 공간적, 기능적으로 엄연히 분리돼 있어 보여 특정 의료기관의 시설 안이나 구내에 위치한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 사건 상가와 B병원은 사용 층이 다르고 출입구 자체도 달리하며 공간적으로 상당히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동선도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물 2층 일부는 다른 사람에게 임대돼 B병원과 별개 의료기관이 운영되고 있는 점, 1층 상가도 B병원과 별개 업종에 임대된 상태인 점 등을 비춰볼 때 보건소 측이 들고 있는 사정만으로는 이 사건 건물 전체가 하나의 의료기관시설로 보기 부족하다”면서 “이 사건 처분은 그 처분 사유가 인정되지 않아 위법한 만큼 취소돼야 한다”고 판시했다.
김지은 기자(bob83@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 화성 향남 제조관리약사 (경력 7년↑) 채용 바로가기
  • 화성 향남 제조/품질관리 부문별 약사 채용 바로가기
  • Product Manager (Vyepti) 바로가기
  • 환인제약(주) 5월 수시채용(5/14(수) 13:30까지) 바로가기
  • 충북 음성 관리약사(제조/품질) 경력무관 바로가기
  • [사노피/노바티스] RA / PV QA / PSP 경력자 모집 바로가기
  • 평택 제조/품질관리 부문별 약사 채용 바로가기
  • 2025년 정기 공채 바로가기
  • [바이엘코리아] MSL Radiology (의학부 정규직 채용, 공고 연장) 바로가기
  • 명문제약(주) 고형제 팀장 인재모집 바로가기
  • OTC제품 운영 및 관리 바로가기
  • MSL - Oncology 바로가기
  • 용인 백암공장 품질보증부(QA) 품질관리약사 신입 및 경력 채용 바로가기
  • 경남 함안 품질관리약사 신입/경력 채용 바로가기
  • Market Access Manager 바로가기
  • MR(병원영업/광주전남 담당) 채용 바로가기
  • 안산 QA 매니저(경력 3년↑) 채용 바로가기
  • 이건 위법으로 봐야 한다
    판사가 만능이 아니다
    22.03.17 10:39:40
    0 수정 삭제 3 1
  • 아니면 온실에서 자라서 현실을 전혀 못보나
    전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긴 한데

    현실을 쫌 보세요
    지금 실정에도 모두 병원장 이사장 차명으로 약국을 소유하고 운용하는 판에 저걸 허가해주면 의약분업의 근본을 흔드는건데.
    그런거 생각안하고 법리에 따라 판단할 뿐이면 왜 인간이 판결하냐 로봇이 하지. 전체적인 윤곽을 보고 사회적인 영향을 보고 판단하라고 인간이 판사 하는거 아니냐?
    22.03.17 00:40:55
    0 수정 삭제 3 0
  • 보건소 관계자님 .
    항소하면 상급심에서는 판결 바뀜.
    반드시 항소하세요.
    22.03.16 21:01:59
    0 수정 삭제 3 1
  • 병원장 건물애다 약국을 허가해주는건 잘못이다
    그럼 동일 병원부지에 있는 상가에
    약국을 허가 함은 어떤가
    적어도 동일 건물에 약국을 허가 함은 약사법 위반으로 봐야 한다
    여태 그렇게 해오지 않았나
    22.03.16 10:09:16
    0 수정 삭제 8 5
  • 약국에 병원에 임대료를 주는순간
    독립은 불가하다.
    병원장 건물 구내약국은 독립이 될수가 없다.
    소송전으로 가서 다시 바로 잡아야한다.
    22.03.16 09:40:46
    2 수정 삭제 11 4
  • 약국은 허가제가 아니고 신고제인데 요즘 보건소가 너무 월권이 심하네
    22.03.16 09:09:12
    2 수정 삭제 4 12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보건소 병원장 건물 구내약국 간주...법원 문제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