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준모, 약사 276명 설문... 직거래·지인소개로 약국 물색은 12%뿐
컨설팅비 2000만~3000만원 42%... 4000만원 이상 10%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약국 개설을 알아보는 약사 중 74%는 부동산·컨설팅 업체를 통해 매물 정보를 알아보고, 컨설팅비로는 평균 2600만원을 요구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비 없이 약사 간 직거래, 지인 소개를 통해 약국 매물을 알아보는 경우는 12%로 적었다.
데일리팜은 약국개국을준비하는모임(이하 개준모)에서 제공받은 설문 자료를 토대로 약사들이 약국을 알아보는 경로와 평균 컨설팅비를 살펴봤다.
먼저 약국을 알아보는 경로로 276명의 약사가 참여한 설문에서는 74%가 부동산·컨설팅이라고 응답했다.
▲약사 74%가 부동산·컨설팅을 통해 약국을 알아보고 있었다. 자료 제공 약국개국을준비하는모임.
직접 발품 9%, 약사 간 직거래 8%, 제약회사 관계자 5%, 지인 4% 순으로 약국 매물 정보를 얻고 있었다.
다만 약국 양도양수 계약이 이뤄지기 전이기 때문에 실제 거래 사례로 집계할 경우 부동산·컨설팅 비중이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 A약사는 “나도 개국하기 전에 직접 알아보기도 했는데 쉽지 않다. 알아보다가 결국 다시 업체를 찾게 된다. 매물에 대한 확신이나 병원과 연계를 생각하다 보니 그렇다”면서 “다들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거 같고, 일부는 친척이나 지인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업체에서 요구하는 컨설팅비는 천차만별이었다. 적게는 500만원에서 많게는 1억까지 편차가 컸다. 최고가와 최저가를 제외하고 약사들이 제시받은 67건의 평균 컨설팅비는 약 2600만원이었다.
구간 별로 살펴보면 2000만~3000만원 미만이 42%, 3000만~4000만원 미만 28%, 1000만~2000만원 미만이 19%였다. 4000만원 이상은 10%로 집계됐다.
▲평균 요구 비용은 2600만원이었고, 3000~4000만원 구간이 가장 많았다.
A약사는 “과거보다 컨설팅 비용도 1.5~2배 가까이 올랐다. 자리는 없고 구하는 약사는 많아지니 올려도 거래가 이뤄진다”면서 “컨설팅비가 올라가면 권리금 상승 요인이 되기도 한다. 약사들은 결국 매도 할 때 권리금에 포함하려고 한다”고 했다.
중개업체들은 약국 매물은 수급 불균형과 함께 코로나 여파로 시장이 정체돼있어 거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업체 관계자 B씨는 “일반적으로 연말이 되면 정리하는 약국들이 나오는 편인데 올해는 특히 좋은 매물들이 시장에 나오지 않고 있다. 거래 빈도가 많이 줄었다”면서 “최근엔 신규 개설도 늘었지만 아무래도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기존 약국 양수를 더 선호하는 것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이어 B씨는 “실제 개설되고 운영되기까지 꾸준히 신경써야 할 것들이 많기 때문에 업체도 적정 비용 없이는 운영이 쉽지 않다”고 전했다.
설문을 진행한 개준모 관계자는 매도-매수 약사는 각자의 이점을 이유로 중개업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매수 약사는 병의원과 연계한 컨설팅이 가능하다는 점, 매도 약사는 거래 과정에서 피로감을 줄이고 좋은 가치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중개업체를 통한 거래가 활성화됐다는 것이다.
개준모 관계자는 "매도 약사 입장에서는 컨설팅 대비 직거래의 이점이 없다. 중개인을 통하면 매수 약사와 조율해야 하는 피로도가 적고, 약국 가치도 더 높게 평가받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아무래도 중개인들이 분양사무실이나 병의원 컨설팅 쪽으로도 인맥을 가지고 있다 보니 신규 매물도 약사가 직접 알아보기보단 더 용이하다"면서 설문 결과의 원인을 풀이했다.
정흥준 기자(jhj@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