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약국·산업 18개 분야 중 5개 막바지 논의 중
산업약사 3개 분야 모두 불안...이르면 이번 주 입법예고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복지부의 전문약사제 입법예고가 이르면 이번 주 예정된 가운데, 지역사회약료 등 일부 분야 포함 여부가 막바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차례 변동이 있었던 산업약사 3개 분야는 모두 추진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반면 병원약사는 의약정보 분야를 제외하고는 이견이 없어 나머지 9개 분야는 시행령·시행규칙에 그대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태길 복지부 약무정책과장은 대한약국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전문약사제 추진 현황을 공유했다. 다만 입법예고 전 막바지 논의가 이뤄지고 있어 세부내용은 확정되지 않았다.
하 과장은 “12월 초에 입법예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문약사에 대한 정의는 오히려 역할을 좁힐 수 있어 넣지 않기로 했다. 또 분야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는데 일부 과목은 더 논의가 필요해 불투명한 과목들이 있다”고 했다.
병원은 의약정보, 약국은 지역사회약료, 산업은 임상개발기획·무균제제·약물안전 과목의 포함 여부를 놓고 끝까지 이견이 제기되고 있다. 약국 지역사회약료 분야가 빠지게 된다면, 남는 4개는 병원약사와 공통 분야다.
하 과장은 “병원약사는 그동안 뿌리를 내렸기 때문에 이견이 없었다. 산업, 약국 일부 분야는 필요성을 입증해야 하지만 아직 불투명하다”면서 “약국 분야 중 지역사회약료는 방문 다제약물관리를 고려한 분야인데, 다제약물관리는 지역 약국이 아니라 참여 약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 검증된 육성체계도 부실하다”며 마지막까지 분야로 확정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했다.
또 다제약물관리는 의료진과 협업이 중요한데, 국내에선 의-약 협력이 수준 이상까지 도달하지 못해 일각에선 업무범위가 충돌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 과장은 “병원도 정원 관리에 숙제는 있다. 퇴직을 하지 않으면 TO가 나오지 않아 전문약사를 더 뽑을 수 없다. 퇴사자가 계속 나오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시행된 이후에도 계속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달 초에는 법령 입안을 무조건 추진한다. 더 늦어서는 안된다”면서 막바지 쟁점들을 곧 결론 지을 계획이다.
하 과장은 앞으로 지역 약국들이 전문성 강화에 고민과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약국 약사만이 만들 수 있는 환자 데이터를 활용해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는 조언이다.
하 과장은 “병원약사는 기존에 세팅이 돼있었기 때문에 쉬웠지만, 산업약사는 그렇지 않아 제도화 진행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제도는 청사진을 따라 좇아가는 게 아니라 현실이 마련돼 있어야 제도화가 가능하다”고 했다.
하 과장은 “타 직역도 전문과목이 일시에 생긴 것이 아니다. 약국의 전문성 강화도 필요하다. 상담의 기본은 비밀이지만 개별 상담공간이 없는 약국이 많다. 데이터와 소양, 상담스킬 등 중요한 것이 많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문약 조제도 물론 중요하지만 온전히 약사가 판단하는 일반약, 건기식에서 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면서 “약국을 찾는 환자 데이터를 축적해 이를 활용하면서 상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흥준 기자(jhj@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