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료원 시범사업에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한 팀으로
복지부가 지난해 시작한 '재택의료 시범사업'도 약사는 빠져
[데일리팜=강신국 기자] 공공의료기관이 추진하는 가정 방문 의료서비스에서도 약사가 배제됐다. 이렇게 가다가는 의사-간호사 조합에 의해 방문약료사업이 설 자리를 잃어가는 것 아니냐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의료원은 올해 시정 기조인 '약자와의 동행'에 맞춰 가정방문형 의료복지서비스인 '서울누리방문케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의료원 가정방문 의료상담(서울의료원 제공)
이 사업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팀을 꾸려 도움이 필요한 가정을 방문해 문제를 파악하고, 필요한 의료 처치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골자다.
이를 통해 의료 취약계층을 찾아내 지원하고 기존 재택돌봄 사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의료원은 기대했다.
특히 기존 재택 돌봄 사업의 한계를 보완하고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시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업 내용이 강화됐다.
한편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시작한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도 의료기관에서 대상자의 집을 방문해 진료와 간호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며, 참여를 원하는 의료기관의 의사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이 팀을 구성해 지속적으로 환자를 관리하도록 한다.
참여하는 의료기관의 방문진료에 대한 수가 12만원에 재택의료기본료(장기요양보험) 환자당 14만원 등이 책정돼 있다.
사실상 정부가 현재 진행 중인 커뮤니티케어와 연계 가능성이 높은 이번 재택방문 의료에 처방 조제, 복약지도 등 약사 서비스는 빠져 있다.
복지부도 약사의 역할이 없다는 점을 인정했다. 시범사업에서 복용 중인 약물 간 상호작용을 확인하거나 복약 이행도를 확인하는 역할 등이 주를 이루는데 의사가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의사협회는 미래를 내다보고 의원 주도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의협은 커뮤니티케어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복지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의료 영역으로 확장해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만족도 높은 커뮤니티케어 모델이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편 약사회는 약사가 참여하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이 지난해 말 종료되자 사업 연속성이 불명확해진 만큼, TF를 새로 꾸리고 약사의 역할을 공고히 할 방안을 찾아가겠다는 계획이다.
약사회는 커뮤니티케어을 국민건강보험공단 다제약물 사업과 연계해 추진하고 방문약료서비스의 체계화 및 고도화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강신국 기자(ksk@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