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병원 이사회서 결정…문전약국 5곳도 어수선
약국들 "폐원 이슈 20년째...공식 안내 못 받았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전경.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이 적자 누적 문제로 사실상 폐원 수순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문전약국가도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서울 중구 소재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은 오는 20일 이사회를 열고 서울백병원 폐원안을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1941년 백인제외과병원으로 문을 연 지 83년 만이다.
폐원 이유는 20여년 간 거듭된 적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4년 73억원 손실을 본 뒤 매년 적자가 누적돼 2023년 기준 누적 적자만 1745억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백병원 측 역시 2016년 경영정상화TF팀을 구성해 소생에 나섰으나 의료관련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는 데 무게가 실렸다는 설명이다.
관련 지역 약사들과 약사회도 폐원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만약 이사회에서 폐원이 결정되면 인근에 위치한 문전약국 5곳 역시 직격탄을 입게 되기 때문이다.
인근 약국은 "아직까지 병원으로부터 공식적인 안내를 들은 바는 없다"며 "다만 폐원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불거졌었기 때문에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다른 관계자도 "20여년 전부터 적자에 대한 얘기가 나오긴 했지만, 만약 폐원이 확정될 경우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왔던 약국들도 직접적인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2007년 A약국을 시작으로, 문전약국가가 형성됐으며 현재 서울백병원에서 발행되는 처방이 많지는 않지만 5개 약국이 현상을 유지해 오고 있다는 것.
또 다른 지역 관계자는 도심 지역 내 병원 이전·폐업 등에 대한 우려를 토해냈다. 이 관계자는 "국내 첫 민간 여성 전문병원으로 명성을 쌓았던 중구 제일병원이 폐원한 데 이어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백병원까지 폐원할 경우 지역 내 의료기관과 약국 등 역시 격변을 맞게 되는 것"이라며 "상황을 주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강혜경 기자(khk@dailyphar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