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생명과학 이어 보령·대웅·HK이노엔 등 무효 심판 청구
뉴질랜드 제약사 AFT파마슈티컬스 개발 비마약성 진통제
국내선 경보제약 독점 판매…작년 4월 발매 후 매출 껑충
[데일리팜=김진구 기자] 비마약성 진통제 '맥시제식주'에 대한 특허 도전이 확대됐다. 지난달 27일 JW생명과학이 무효 심판을 청구한 이후로 총 22개 업체가 도전에 합류했다.
1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보령 등 19개 업체는 최근 맥시제식주 용도특허(10-1900520)에 무효 심판을 청구했다.
앞서 JW생명과학과 JW중외제약, JW신약은 지난달 27일 같은 특허에 무효 심판을 청구한 바 있다.
여기에 ▲광동제약 ▲대웅 ▲대한뉴팜 ▲동광제약 ▲동구바이오제약 ▲마더스제약 ▲보령 ▲비씨월드제약 ▲삼진제약 ▲SK케미칼 ▲HK이노엔 ▲제뉴원사이언스 ▲제뉴파마 ▲케이엠에스제약 ▲하나제약 ▲한국팜비오 ▲한화제약 ▲휴온스 ▲휴온스메디텍이 추가로 무효 심판을 청구했다. 이들은 JW생명과학의 심판 청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같은 심판을 청구하면서 우선판매품목허가(우판권) 획득을 위한 '최초 심판청구' 요건을 충족했다.
현재 국내에 등재된 맥시제식주 특허는 1개다. 이 용도특허는 2031년 10월 만료된다. 특허 도전 업체들은 용도특허 무효화에 성공할 경우 PMS가 만료되는 2027년 8월 27일 이후로 제네릭 조기 발매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맥시제식주는 뉴질랜드 제약사 AFT파마슈티컬스가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 복합주사제다.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아세트아미노펜(1000mg)과 말초신경에 작용하는 이부프로펜(300g)이 3.3 대 1의 비율로 복합돼 있다. 단일성분 주사제 대비 통증 완화 효과가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선 경보제약이 판매하고 있다. 경보제약은 지난 2018년 AFT파마슈티컬스와 맥시제식주의 국내 유통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지난해 4월 발매했다.
발매 이후 맥시제식주의 매출은 빠르게 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맥시제식주의 누적 매출은 54억원이다. 작년 3분기 1억원, 4분기 5억원, 올해 1분기 15억원, 2분기 32억원 등으로 급성장 중이다.
김진구 기자(kjg@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