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면허용 직후 의원급 비대면 15.7% 증가"
플랫폼 "감기·피부·소아과 질환자 다빈도 사용"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비대면 진료 전면허용 후 의원급 의료기관의 참여가 급증하는 가운데, 플랫폼 이용 환자 4명 중 1명은 감기로 나타났다.
또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비대면 처방이 늘어나면서 약국들의 플랫폼 제휴 신청은 3배 증가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어제(13일)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브리핑에서 비대면진료가 전면 확대된 2월 23일부터 29일까지 의원급 비대면 진료가 3만569건으로 15.7% 상승했다고 밝혔다. 병원급 청구는 76건에 불과했다.
박 차관은 “정부는 비대면진료 환자 만족도 등 성과를 지속 모니터링하며 국민 건강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보완·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원격의료산업협의회 3사(닥터나우·나만의닥터·굿닥)가 전면허용 전·후를 비교한 진료요청건수 데이터(이달 6일 기준)에서도 비대면 진료는 2만8538건에서 5만7526건으로 2배 증가했다.
원산협 회장사인 나만의닥터 협조로 증가한 비대면 진료 수요를 살펴보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 감기·피부·소아과 질환이었다.
전체 비대면 진료 환자 중 다빈도 질환은 감기 24%, 피부 20%, 소아과 13%를 차지했다. 세 가지 질환으로 분류되는 환자가 57%로 과반수였다.
전공의 파업에 따른 의료공백과는 별개로 의원급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는 경증 환자들이 늘어나면서 약국들의 플랫폼 제휴도 급증했다. 업체에 따르면 전면허용을 기점으로 신청은 3배 증가했다.
나만의닥터 관계자는 “오히려 의원의 제휴 신청 요청은 추세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월 50여곳의 제휴 신청이 접수되고 있는데 12월부터 2월까지 유사하다”면서 “약국은 1월 100여곳에서 2월 300여곳으로 3배 늘었다. 전면 허용 후 급증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전공의 파업과는 무관한 비대면 진료 확대였다는 점을 정부가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의료공백 해소와 관계없는 환자들만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 A약사는 “병원급으로 전면 허용했지만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걸 인정한 꼴이다. 탈모 환자들이 비대면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되는 게 원하던 바인지 물어보고 싶다. 의료 공백에 어떤 기여도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2월 23일부터 상급종병과 종합병원으로 비대면진료를 전면허용 했다. 또 전체 진료 중 30%로 제한했던 비대면 비율과 월 이용 제한 건수도 폐지했다.
정흥준 기자(jhj@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