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1550억→1조1천억→2조'...고성장 지오영 몸값도 커졌다
기사입력 : 24.04.23 05:50:53
2
플친추가
사모펀드 손거치며 덩치 키워…작년 매출 3조 돌파

MBK파트너스, 지오영 지주사 지분 71% 인수 계약…2조원 규모

조선혜 회장 경영은 계속…사업다각화로 꾸준한 성장세

 ▲지오영 천안 제2허브물류센터.


[데일리팜=손형민 기자] 의약품유통업체 지오영의 최대주주가 5년 만에 바뀔 전망이다. 지오영의 기업가치는 10여년 간 10배 이상 늘었다. 지오영은 의약품유통 뿐만 아니라 물류, 구매대행, 방사성의약품 등 사업다각화로 성장을 거듭하며 기업가치를 키우는 데 성공했다. 지오영의 창업주 조선혜 회장은 경영권을 유지하는 동시에 투자를 적극 유치하면서 회사 고성장을 이끌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는 최근 블랙스톤과 지오영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를 맺었다. 인수 대상은 블랙스톤이 보유한 지오영 지주사 조선혜지와이홀딩스의 지분 71.25%로 매각 예상 금액은 2조원이다. 지난 2019년 지오영을 1조1000억원에 인수한 블랙스톤은 5년 만에 9000억원에 이르는 수익을 남겼다.

2002년 조선혜·이희구 회장 설립…사모펀드 손바뀌며 복잡한 지배구조 형성

지오영은 전국 1만8000여 개 약국과 800여 개 병원에 의약품을 공급하는 국내 최대 규모 의약품유통기업이다. 지난해 지오영그룹사의 매출은 연결 기준 4조원을 넘어섰다.

지오영은 지난 2002년 5월 대웅제약 영업본부장 출신 이희구 명예회장과 인천병원 약제과장 출신 조선혜 회장이 설립했다. 당시 SK글로벌(현 SK네트웍스)도 합세했지만 2004년 분식회계 이슈로 퇴장하면서 사실상 조 회장과 이 회장의 공동운영 체제가 유지됐다.

지오영은 사모펀드와 손잡은 2009년부터 몸집을 키우기 시작했다. 첫 시작은 골드만삭스였다. 골드만삭스는 지오영에 400억원을 투자해 지분 45%를 확보했다.

2013년 지오영은 신생 사모펀드였던 앵커에쿼티파트너스(AEP)를 새로운 투자자로 맞이했다. 당시 엥커파트너스는 지오영의 구주 46%와 전환사채(CB) 인수를 위해 총 155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2019년 또 한 번 지오영의 주인이 바뀌게 됐다.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6년 만에 엑시트에 나서면서 사모펀드 블랙스톤이 자리를 꿰찼다.

블랙스톤은 조선혜지와이홀딩스를 세우고 이 투자법인을 통해 지오영을 지배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블랙스톤은 2019년 지오영에 약 1조1000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주주 유상증자로 5910억원, 인수금융으로 5700억원을 조달했다. 블랙스톤은 조선혜지와이홀딩스 지분 71.2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등극했다.



블랙스톤 등장을 계기로 지오영그룹은 블랙스톤→SHC Golden→조선혜지와이홀딩스→지오영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완성했다. 창업주인 조 회장과 이 명예회장은 조선혜지와이홀딩스 지분을 각각 22%, 7% 보유하고 있다. 블랙스톤은 조 회장과 공동 경영을 하면서 지난해 2월 동종업계 2위 업체인 백제약품 지분 25%를 인수하는 등 회사 가치를 키웠다.

2024년 MBK파트너스가 새로운 지오영 인수파트너로 등장하면서 몸값은 두 배로 뛰었다. MBK파트너스는 지오영의 인수 금액으로 2조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모펀드의 투자금을 거듭 얻게된 지오영은 활발히 덩치를 키웠다. 지오영은 2009년 12월에는 청십자약품 인수했고 2010년에는 호남지오영, 대전지오영을 설립했다.

2013년 지오영은 업계 최초로 연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이후 지오영은 2014년 제주지오영를 설립하고 병원 구매대행업체 케어캠프를 인수에 성공했다.

사모펀드가 계속 바뀌는 과정 속에서도 조 회장의 경영권은 지속됐다. 조 회장은 사모펀드와 경영권 분쟁이 벌어질 수도 있는 상황에서 회사를 지키며 지속 성장시키고 있다.

몸값 2배 뛴 이유는?...지오영 사업다각화로 유통업체 한계 극복

2019년 블랙스톤 인수 후 5년 새 지오영의 몸값은 2배로 뛰어올랐다. 의약품유통업체 특성상 마진이 크지 않아 매각이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지오영의 사업다각화 전략이 경쟁력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오영은 창립 이듬해인 2003년 매출 1750억원을 기록했다. 그 이후 10년 동안 성장세를 거듭해 2013년 의약품유통업체 사상 최초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지오영은 지난 2020년 매출 2조원을 넘어섰고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지오영의 작년 매출은 3조63억원으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이는 마스크로 호황기를 누렸던 2020년보다 높은 실적이다.



지오영은 사업다각화 일환으로 의약품 전문 물류 서비스에 공을 들이고 있다. 물류 시스템은 형태에 따라 4가지(1PL/2PL/3PL/4PL)로 나뉜다. 3PL은 물류 업무를 외부 업체에 아웃소싱 하는 것이며, 4PL은 물류 아웃소싱 뿐 아니라 적합한 물류시스템을 컨설팅하고 IT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말한다. 지오영은 생물학적제제, 의료기기, 동물의약품 등으로 물류보관 사업을 확대했다.

2008년 설립된 지오영 자회사 지오영네트웍스의 성장세도 꾸준하다. 지오영네트웍스는 의약품 도매업과 위생재료 및 의료기기 판매업을 목적으로 2008년 11월에 설립됐다. 지오영이 지분 100%를 보유, 지배하고 있다.

지오영 병원 구매대행 계열사 케어캠프는 지난해 9149억원으로 매출이 1조원에 육박했다. 지오영이 인수한 2014년 매출과 비교하면 197.8% 증가했다. 케어캠프는 국내 1위의 의약품·기자재 병원 구매대행 업체로 삼성서울병원, 경희의료원, 건국대병원 등에 치료재료, 의료기기 등을 납품하고 있다.

지오영 또 다른 계열사 듀켐바이오 역시 매출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듀켐바이오는 지난해 34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7.0% 증가했다. 지오영은 2021년 케어캠프의 방사성의약품 부문 분할합병을 통해 듀켐바이오를 인수했다.
손형민 기자(shm@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 약사회장이라서 썼는데 이러면 언제 약사 뒷통수 후려칠지,,
    어차피 사모는 이익을 극대화하는 집단,,,이익을 극대화하기위해선
    약사들 뒷통수 치는거 밖에 없지
    24.04.23 10:29:40
    0 수정 삭제 5 1
  • 이익 극대화는 무엇이될까? 도매 몸집불리기? 약국 거래 이익율 극대화(반품처리,약가인하,회전일및 금융비용축소등으로 갈듯한데)로 이젠 개별약국들은 조건에 맞는 유통거래처로 ..항상 유념해야할듯.
    24.04.23 08:24:22
    0 수정 삭제 3 0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1550억→1조1천억→2조...고성장 지오영 몸값도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