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스틴 시장 규모 2년새 55% 확대...바이오시밀러 침투 효과
삼성 온베브지 4분기 연속 매출 100억대...오리지널과 격차 58억
아바스틴, 약가인하 이후 매출 유사한 수준...건보재정 절감효과
[데일리팜=천승현 기자] 국내 개발 바이오시밀러가 연간 1000억원 규모의 항암제 아바스틴 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출격 2년여만에 점유율을 4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온베브지가 오리지널 의약품에 근접한 매출로 성장세를 주도했다.
2일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베바시주맙 성분 항암제 시장 규모는 32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8% 증가했다. 2022년 1분기 211억원과 비교하면 시장 규모가 2년새 54.8% 확대됐다.
베바시주맙은 로슈의 아바스틴이 오리지널 의약품이다. 전이성 직결장암과 전이성 유방암, 비소세포폐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신세포암, 교모세포종, 상피성 난소암, 난관암, 원발성 복막암, 자궁경부암 등에 사용되는 항암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가 최근 베바시주맙 성분 시장 확대의 주역으로 지목된다. 아바스틴 시장에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021년 9월 바이오시밀러 온베브지를 발매했고, 셀트리온과 알보젠코리아가 추가로 진입했다.
지난 1분기 온베브지 매출은 131억원으로 전년대비 33.1% 증가했다. 지난 2022년 1분기 18억원에서 2년 만에 7배 이상 매출 규모가 확대됐다. 온베브지는 발매 직후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고 지난해 2분기에는 매출 100억원을 넘어섰다. 올해 1분기까지 4분기 연속 100억원대 매출을 기록 중이다.
국내 개발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분기 매출 1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온베브지가 처음이다. 셀트리온의 램시마가 지난 1분기 9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셀트리온의 베그젤마는 1분기 매출이 1억원에도 못 미치며 존재감을 알리지 못하는 것과 상반된 성적표다.
온베브지는 바이오시밀러 제품 중 가장 먼저 시장에 진입했고 맞춤형 영업력을 장착하면서 시너지가 극대화했다는 분석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온베브지 국내 허가 직후 보령과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을 맺었다. 보령은 국내 기업 중 항암제 영역에 강점을 갖고 있는 업체 중 하나다.
보령은 지난 2020년 5월 ONCO(항암) 부문을 신설했다. 전문의약품 부문 산하에 있던 조직을 별도 부문으로 독립시켰다. 국내외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항암제와 바이오시밀러의 판권을 확보했고 오리지널 항암제의 판권을 사들이는 LBA(Legacy Brands Acquisition) 전략으로 젬자와 알림타 등을 장착했다. 보령은 2021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아바스틴과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국내 판권도 확보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삼페넷은 1분기 매출이 19억원으로 2년 전보다 79.3% 늘었다.
아바스틴 시장에서 온베브지의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0.0%에 달했다. 항암제 시장에서 국내 개발 바이오시밀러 1개 제품이 점유율 40%를 넘어선 것은 온베브지가 처음이다. 온베브지는 아바스틴(188억원)과의 격차는 58억원에 불과했다.
지난 1분기 기준 아바스틴 시장에서 국내 개발 바이오시밀러 온베브지와 베그젤마 2개 품목의 시장 점유율은 40.3%로 집계됐다.
오리지널 의약품 아바스틴은 매출 변화가 없었다. 1분기 아바스틴의 매출은 188억원으로 전년보다 3.0% 감소했다. 아바스틴은 지난 2022년 1분기 193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이후 180억~190억원대 분기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아바스틴은 2021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287억원, 302억원, 308억원 등 안정적인 성장흐름을 나타냈지만 4분기에 22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8.6% 축소됐다.
바이오시밀러 등장에 따른 약가인하로 매출 공백이 발생했다. 아바스틴은 온베즈지의 등재로 2021년 10월 아바스틴0.1g/4mL는 상한가가 33만387원에서 23만1271원으로 30% 인하됐다. 아바스틴0.4g/16mL는 107만7531원에서 75만2746원으로 30% 내려갔다.
원칙적으로 국내 약가제도에서 바이오시밀러가 등장하면 오리지널 의약품은 특허 만료 전보다 상한가 기준이 30% 내려간다. '혁신형 제약기업·이에 준하는 기업·국내제약사-외자사 간 공동계약을 체결한 기업이 개발한 품목 또는 우리나라가 최초 허가국인 품목 또는 국내에서 생산하는 품목'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모두 특허만료 전 오리지널 제품의 80%까지 보장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혁신형 제약기업이 아니기 때문에 아바스틴의 약가는 종전의 70% 수준으로 떨어졌다.
아바스틴은 약가인하율 규모의 매출 감소가 발생했지만 이후 유사한 규모의 매출을 형성하면서 바이오시밀러 침투에 따른 추가 매출 공백을 최소화하는 분위기다. 아바스틴이 약가인하 이후 큰 매출 하락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온베브지가 분기 매출 100억원 이상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 셈이다. 결과적으로 온베브지 진입으로 오리지널 의약품의 약가도 30% 떨어지면서 건강보험 재정과 환자들의 약값 절감 효과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천승현 기자(1000@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