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기자의 눈] 플랫폼 과욕이 혁신의 발목을 잡는다
기사입력 : 24.12.02 05:30:00
0
플친추가




[데일리팜=정흥준 기자]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은 소규모 스타트업이 고민 끝에 내놓은 서비스를 왜 이렇게 막아서냐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직능단체가 혁신을 가로막고 있다는 불만, 청년 사업가들의 도전에 기득권이 재를 뿌리고 있다는 억울함도 느끼고 있지 않을까.

완고하게 자리 잡은 시장에서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려면 이해관계자들과의 충돌은 불가피하다. 그들에게 요구되는 혁신성에는 기술적 진보뿐만 아니라 기존의 관성을 뒤집어야 한다는 과제도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해관계자들과의 논의 테이블을 마련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대다수가 납득할 만한 서비스 개선과 선택으로 더 많은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지난 4년 플랫폼에게는 커다란 위기와 기회가 번갈아가며 찾아왔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한시적 허용, 응급의료취약지 초진 허용과 대상 확대, 전공의 파업과 의료대란에 따른 수혜 등의 기회가 찾아왔을 때 플랫폼은 어떤 선택을 했을까.

가장 최근의 일만 놓고 보자. 국정감사에서 플랫폼들은 위고비 오남용과 유통업체 설립에 따른 부작용을 지적 받았다.

하지만 국정감사가 끝나기도 전에 플랫폼은 보란 듯이 유명 배우를 내세운 광고 활동을 시작했다. 위고비 오남용은 처방과 복약지도 과정에서 비롯된다며 의약사들의 책임으로 돌렸다.

X
AD
화콜정이 돌아왔습니다 이벤트참여 →
플랫폼은 실제 위고비 열풍에 아무런 책임이 없었을까. 익명을 요구한 한 인플루언서는 닥터나우로부터 광고 표기가 없는 위고비 진료 후기글을 요구받았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 위고비 열풍에서 플랫폼이 선택한 건 오히려 뒷광고를 통한 이익 극대화였다는 것이다.

만약 플랫폼이 물들어올 때 노 젓기 위한 광고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오남용 논란을 낳고 있는 비만치료 주사제에 한해서는 화상진료 원칙으로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으면 어땠을까.

결국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는 이번 달부터 비대면 진료로 처방받을 수 없게 됐다. 욕심 어린 선택이 스스로의 발목을 잡게 된 셈이다.

비대면 진료가 시대적 흐름이라는 데에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것이다. 이 흐름을 가로막는 건 어쩌면 플랫폼 자신일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당장의 시장 점유율을 더 키워보겠다는 욕심, 각종 영업과 제휴 서비스를 만들어보겠다는 시도는 순간의 이용자를 늘어나게 할지는 모르겠지만 비대면 진료의 큰 흐름에는 악영향을 미칠 뿐이다.

복지부 용역 사업으로 개발되고 있는 ‘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는 본인 인증과 안면인식 기술이 탑재된다. 또 12월부터는 의료 마이데이터를 비대면 진료에 활용하는 실증 서비스도 시작한다.

당장은 플랫폼 이용률이 정체되더라도 광고 모델의 유명세와 마케팅을 선택하기보다, ‘약 자판기’로 악용되고 있다는 오명을 벗을 서비스 개선에 투자해야 한다. 그게 공론화와 제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영세한 플랫폼들 중 이 선택을 할 수 있는 곳이 얼마 되지 않는다는 것도 더 늦기 않게 깨닫기를 바란다.

정흥준 기자(jhj@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기자의 눈] 플랫폼 과욕이 혁신의 발목을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