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한약제제, 복용편의성 개선·복합제 개발 시 임상 범위는?
기사입력 : 25.04.24 12:04:43
3
플친추가

식약처, 한약(생약)제제 개발 상담 사례집 개정안 마련



[데일리팜=이혜경 기자] 기존 한약(생약)제제의 복용 편의성 개선이나 복합제 개발 시 임상이나 생동성시험을 진행하지 못할 경우 필요한 자료에 대한 근거가 명확해 졌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약(생약)제제 개발 상담 사례집(민원인 안내서)' 개정(안)을 마련하고 의견조회를 진행 중이다.

이번 개정안에는 복용 횟수 변경 및 복합제(기허가 단일제 조합) 유형별 필요자료 등이 명시됐다.

한약(생약)제제는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약효성분을 명확히 밝힐 수 없는 특성상 약동학적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으며, 혈중 특정 유효성분에 대한 분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약물상호작용 시험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 상황에서 기허가 한약(생약)제제 단일제로 복합제를 개발할 경우, 단일제만의 조합으로 약동학적 평가가 어려워 임상시험 1상을 진행하기 까다로운 상황이다.

이와 관련 식약처는 "복합제 개발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타당한 개발 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한 경우 상호작용으로 인한 안전성 및 유효성에 영향이 없음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로 갈음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한약(생약) 제제의 안유 검토 자료에는 임상진료지침, 임상문헌 등 객관적 입증자료를 통한 개별 용량 복합제의 안전성·유효성 개선의 타당성 등이 포함된다.

X
AD
교육 신청하기 GO! 이벤트참여 →
다만 약물상호작용이 우려되는 경우, 용법·용량에 대한 근거자료로서 치료적 탐색 임상시험이 요구될 수 있다.

기허가 단일제(A+B)로 효능·효과가 동일한 복합제를 개발하려고 할 때, 3상 임상시험 시 새로 개발하는 제제처럼 기허가 제제(단일제 A 또는 B)와 비열등성 설계는 불가하다.

식약처는 "복합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성분이 목표하는 효능·효과에 기여함을 확인하고, 복합제의 안전성·유효성이 확립되었음을 입증해야 한다"며 "3상 임상시험 시 각 단일제 대비 복합제의 우월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허가 제제의 복용횟수를 줄여 하루에 3번 복용하는 제제에서 2번 또는 1번 복용하는 제제로 개발할 경우, 혈중 특정 유효성분에 대한 분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약동학적 평가 시험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에 임상이나 생동시험이 불가능한 경우 사유를 제출하여 면제할 수 있다.

다만 자료 제출 사유더라도 별도의 용법·용량 설정 근거자료 제출은 필요하며 근거자료가 없는 경우, 용량 설정의 근거자료로 치료적 탐색 임상시험이 필요할 수 있다.

식약처는 "한약(생약)제제는 약물의 생물약제학적, 약력학적 특성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임상시험 시에도 기허가 제제의 임상자료를 기반으로한 보다 면밀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이혜경 기자(hgrace7@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 한방원리로 개발이 가능할까? 결국 약학적 개발이라면 생약제제일텐데 무슨 한약제제?? ㅋㅋ 이젠 학문도 팔아먹나? 식약처 친한방 공무원들..저기에는 괄호 열심히 쓰면서 괄호조항 없애라고 우기고 있구만...ㅋㅋㅋ
    25.04.28 10:47:29
    0 수정 삭제 0 0
  • 대법원에서 확정판결 났으니 한약제제 보다는 생약제제가 혼란이 적을 것으로 보인다. 하여튼 친한방사 공무원들 복지부, 식약처에서 열일한다. 그런다고 약사법이나 판결이 바뀌지도 않을텐데..
    25.04.26 02:18:52
    0 수정 삭제 0 0
  • 그래서 한약제제가 뭐임? 한약제제인 약과 아닌거 구분좀 ㅎ
    25.04.25 08:57:41
    0 수정 삭제 1 0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한약제제, 복용편의성 개선·복합제 개발 시 임상 범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