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경상대병원 내 약국개설 창원시의 비열한 사기극"
기사입력 : 17.10.17 12:15:03
6
플친추가
약사회 성명 내어 비판..."분업원칙 파괴한 최초의 지자체"




대한약사회는 창원 경상대병원 내 약국 개설이 허용되자 창원시가 약사를 상대로 비열한 사기극을 저질렀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약사회는 19일 성명을 내어 "의약분업 원칙을 훼손한 창원시의 창원경상대병원 내 약국개설 허용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약사회는 "안상수 창원시장은 법과 원칙에 따라 사태를 해결하겠다고 공언했으나 결국 약국개설을 허용한 것은 창원시가 약사를 상대로 저지른 비열한 사기극"이라며 "눈앞에 불법이 자행되는 현실을 마주한 전국 7만약사들의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약사회는 "창원시는 시정성과에 몰두해 병원유치 단계에서부터 경상대병원의 초법적 요구를 용인했다"며 "이러한 실수에 대해 원칙에 따라 문제해결에 앞장서기보다 자신들의 잘못을 감추는데 급급하고 사태를 방관하는 등 약국개설 허용결정을 통해 의약분업의 원칙을 파괴한 최초의 지자체라는 불명예를 자초했다"고 지적했다.
X
AD
영상 확인 GO> 이벤트참여 →

약사회는 "의료기관과 약국은 공간적 기능적으로 분리돼야 한다는 의약분업의 대원칙이 무너졌다"며 "창원시의 잘못된 시정행위로 그동안 주어진 역할에 묵묵히 최선을 다해온 선량한 약사들이 받아야할 피해와 고통은 보상받을 길이 막막하고, 국가기관이 앞장서서 국립대병원의 이익을 챙겨주기 위해 법과 원칙을 어기고 있는 실정과 어느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는 상황이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약사회는 "그 누구보다도 법을 잘 이해하고 신뢰할 수 있는 행정을 펴야할 국가기관인 창원시와 경상대병원이 법과 원칙을 어기는 데에 앞장섰던 이 사태에 대한 비판은 영원히 꼬리표처럼 따라붙을 것"이라며 "창원시 시정의 가장 치욕적이고 숨기고 싶은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약사회는 "창원시의 잘못된 약국개설 허가 결정은 결코 인정할 수 없다"며 "창원시의 잘못된 시정폭거를 창원시민과 국민들에 폭로하는데 앞장서고 아울러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불법적인 약국개설 허용이 취소될 때까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강신국 기자(ksk@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 박 전창원시장님과 최 전창원상의장님은 왜 저러한 말도 안되는 창원시 성장에 줄곧 기여한 내부구성원(병원약국국립대) 명확하게 죽여버리는 유치계약을 추진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진주경상대부설 창원병원~~~~ 필요없다


    경남도의회, ,,,,창원에 의과대학부터 인가하라 (대정부 건의문 채택)

    2017.09.20




    경남도의회는 20일 열린 제34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창원지역 의과대학 설립 촉구 대정부 건의안'을 의결했다.


    도의회는 창원지역 의과대학 설립 건의안에서

    "경남은 인구 1천명당 의사 수가 1.27명으로 전체 평균인 2.3명보다 낮은 수준으로 제주도·세종시를 제외하면 전국에서 가장 낮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인구 100만이 넘는 대도시 중 의사를 배출할 수 있는 의대가 한 군데도 없는 곳은 창원이 유일하다"며 "창원에는 의대뿐만 아니라 치대, 한의대, 약대 등의 의료인 교육기관도 없는 실정으로 보건의료서비스 확충을 위해 안정적인 보건의료 전문인력 공급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 의사의 94.2%가 도시지역에 근무하고 52.9%는 수도권 지역에 분포하는 등 의사인력의 대도시·수도권 집중현상이 심각하다"며 "수도권 의과대학 졸업생이 지방에 정착하는 것을 꺼린다면 그 지역에서 양성하는 의료인력이 그 지역의 의료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도록 지방 의료인력 양성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도의회는 이러한 건의안을


    대통령, 국회의장, 기획재정부 장관, 교육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문화재청장 등에게 보낼 계획이다



    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


    진주시 창원구가 아니다.

    진주경상대 창원병원 철폐하라~~


    의약분업기조가 흔들렸다~~


    2010년 창원마산진해 통합준비위(통합창원시직전)는 창원관내에 의대약대한의대 치대조차 없음을 한탄하고 (창원대약대 설치 대정부건의문)을 의결하였음에도
    2016년 2월 안상수 시장재임 중 이를 무시하고 진주 경상대의 부설창원병원 현실화시켰다.


    경북대병원을 부산대 앞에 설치하는 비윤리적 발상과 직권남용에 뭐가 다른가? ..



    왜 30년 도청소재지 국립대인 창원대가 있음에도 그간의 저러한 통합창원시(통준위)의 기의결 및 창원대 약대설치 대정부건의안을 무시하고


    창원에서 그것도 비윤리적이고 정의롭지 못한 지역간 국립대의 균형과 발전을 황당하게 깨버리는 타지 진주 경상대의 창원 병원을 구체적으로 누가 7년간 물밑작업하며 현실화시켰는가?

    이는 2009년 지자체의 앞뒤가 안맞는 행정으로 지자체의 제반 구성원에 대한 신의칙에 반하는 직권남용임과 동시에,

    창원시 기 중요 구성원인 창원대의 권한인 창원대의대 약대 설립신청과 승인 사전 방해하고,

    나아가 창원대의 광복후 정식 경남도청소재지30년국립대 대표성을 훼손하려는 악의적인 미필적고의에 기한 과정과 결과인바


    진주경상대부설 창원병원은 마땅히 즉시 철회되어야 한다.

    누가 봐도 직권남용에 특정단체 30년 도청소재지 국립대인 창원대 의대육성과약대인가추후 로스쿨설치때 사전 흠결이 되는 모습을 유도하는 사전 권리행사 방해임
    17.11.22 09:32:58
    0 수정 삭제 0 0
  • 약국의 이익을 나눠 챙겨가는 것도 아닌데 뭐가 문제지
    손님들은 가까워서 좋겠구만.....
    17.10.18 15:59:07
    1 수정 삭제 5 1
  • 약조제할때 위생적으로 하세요
    손도 좀 잘 씻고
    17.10.18 10:00:04
    1 수정 삭제 3 1
  • 안상수 창원시장님께서 법과 원칙에따라 처리한 것이다.
    약사편을 들지 않으면 잘못된 것이고 불법이라는 주장 동의하기 어렵다.
    이제 인정하고 고만해라.
    많은돈 들여서 병원앞에 약국 개설한 약사는 다소 억울 하겠지만 그동안 많이 팔았을 테고 운명이 그런걸 어쪄겠소
    그사람 복이 거기까진걸
    17.10.17 18:46:17
    0 수정 삭제 9 3
  • 자기들의 수장인 약사회장을 헐뜻고 고발하고 어떻게든 끌어 내리려하고 동료 약사가 잘되는 꼴을 못 보는것 같고 내가하면 로맨스 남이하면 불륜~ 끝없는 직역 이기주의 의사들은 안그러는데~
    17.10.17 14:16:15
    2 수정 삭제 9 2
  • 창원시는 행정심판에서 패소한 것이 아니라, 패소해 주었을 것이다. 경남과 창원시 약사들은 이를 기억하고, 똘똘한 변호사 선임하여 분업 정신을 지켜 주세요.
    17.10.17 12:38:52
    0 수정 삭제 9 8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경상대병원 내 약국개설 창원시의 비열한 사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