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자가주사제 삭센다 논란이 확대되자 김대업 대한약사회 당선인이 자가 주사제 분업 적용을 주장하고 나섰다.
김 당선인은 20일 기자와 만나 삭센다 오남용 문제, 주사제 수가 현실화, 삭센다 분업적용 등에 대해 언급했다.
김 당선인은 "환자 불편을 이유로 의약분업 예외로 분류돼 있는 주사제를 의약분업 대상 의약품으로 포함하는 로드맵이 고민돼야 한다"며 "우선 현재 비만치료 주사제로 폭리와 오남용 문제를 양산하고 있는 삭센다와 인슐린, 면역억제제 등과 같은 '자가 주사제'부터 의약분업 대상으로 신속히 편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당선인은 "일부 병·의원에서 최소한의 투약기준인 체질량지수(BMI) 체크도 없이 다량 단순 판매되고 있고 '부작용 없는 다이어트 약'으로 둔갑해 갑상선 병력 및 가족력에 대한 투여 금지 원칙조차 무시되고 있는 삭센다를 신속히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해 국민 건강에 대한 위해 우려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사제 외래 조제 저수가 문제도 언급했다. 김 당선인은 "분업 시행 당시 주사제가 의약분업 예외로 지정 되면서 주사제 조제료가 폐지된 이후 약국에서 주사제 단독 처방에 대한 조제시 의약품 관리료 560원만 산정되고 있는 상식밖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당선인은 "주사제 처방의 경우 처방전 입력, 검토는 물론 복약지도 등 일반 처방조제에 준하는 업무량에 더해 주사제 보관에 있어서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에도 의약품관리료만 산정하고 있는 현행 수가 기준의 불합리하다"며 "취임 이후 이에 대한 조속한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