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제약 해외법인 희비…중국·북미 울고 일본·동남아 웃고
기사입력 : 21.03.24 06:00:55
1
플친추가

제약·바이오 사업보고서 분석⑦해외 현지법인 실적

북경한미·양주일양 등 매출 13%↓…녹십자 북미법인 매각

일본·동남아 현지법인은 코로나에도 성과…대웅제약 수혜
[데일리팜=김진구 기자] 해외 현지법인을 설립한 주요 상장제약사의 표정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코로나19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은 중국과 북미지역 법인들의 실적이 크게 감소한 반면, 일본과 동남아 지역의 현지법인들은 비교적 준수한 성적을 냈다.

◆북경한미 20%·양주일양 13%·GC차이나 12% 뚝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24개 중국 현지법인의 매출합계는 4539억원이었다. 2019년 5197억원에 비해 13% 감소했다. 수익성은 더욱 악화됐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588억원에서 488억원으로 1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코로나 사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코로나 사태 초기 강력한 통제 정책을 실시한 바 있다. 이로 인해 대다수 중국법인의 상반기 실적이 급감했다. 하반기 다소 만회했으나, 상반기 부진을 씻어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주요 상장제약사가 설립한 24개 중국 현지법인의 지난해 실적(자료 금융감독원)


한미약품의 중국법인인 북경한미약품유한공사는 2019년 2544억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2035억원으로 20% 감소했다. 상반기 928억원, 하반기 1107억원 등이었다. 2019년의 경우 상·하반기에 각각 1267억원, 1278억원으로 균등한 실적을 냈다는 점에서 코로나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일양약품의 경우 양주일양제약유한공사와 통화일양보건품유한공사의 합계 매출이 1400억원에서 1323억원으로 13% 줄었다. 마찬가지로 상반기에 부진했던 것으로 관찰된다. 다만 이들의 당기순이익은 186억원에서 198억원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녹십자의 녹십자생물제품유한공사(GC차이나)·안휘거린커약품판매유한공사는 같은 기간 649억원에서 571억원으로 1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63억원에서 52억원으로 18% 줄었다.

 ▲왼쪽부터 북경한미약품, 양주일양약품, 녹십자생물제품유한공사


광동제약은 연변·연대·소주 지역에 총 4개 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4개 법인의 합계 매출은 396억원에서 360억원으로 9% 감소했다. 광동제약의 경우 지난해 연변에 위치한 광동실업연변유한공사를 처분하기도 했다.

◆녹십자 북미법인, 매각 직전까지 매출 7% 감소

녹십자의 GCNA(GC North America)를 중심으로 한 북미법인들도 코로나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녹십자는 지난해 10월 북미 현지법인을 스페인 혈액제제 기업 그리플스에 매각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사업보고서상 작년 말 기준 북미법인의 매출은 '0'으로 기록됐다.

다만 3분기까지 성적만 놓고 봤을 때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매출·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한 것으로 관찰된다. 녹십자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북미법인 합계매출은 399억원으로, 2019년 426억원 대비 7%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316억원에서 414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확대됐다.

휴온스는 지난해 새롭게 미국에 휴온스USA라는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설립 첫해 매출은 78억원이었다.

◆대웅제약 일본·동남아 현지법인, 코로나에도 호실적

반면, 일본과 동남아 현지법인들은 코로나19 사태에도 좋은 성적을 냈다.

일본의 경우 대웅제약과 한독이 각각 현지법인을 설립한 상태다. 대웅제약의 일본법인은 2019년 138억원이던 매출을 지난해 195억원으로 늘렸다. 한독의 일본법인은 같은 기간 매출이 76억원에서 68억원으로 감소했다.

 ▲주요 상장제약사의 지역별 해외법인 실적(자료 금융감독원)


동남아에는 대웅제약, 종근당, JW중외제약, 셀트리온 등이 14개 현지법인을 설립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들의 매출 합계는 2019년 231억원에서 지난해 355억원으로 54% 증가했다.

특히 대웅제약의 경우 인도네시아·필리핀·태국 등에서 201억원의 매출을 냈다. 2019년 187억원 대비 7% 증가했다. 대웅제약의 동남아 현지법인들은 2019년 34억원 적자로 당기순손실을 냈으나, 지난해엔 흑자로 전환하면서 3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김진구 기자(kjg@dailypharm.com)
글자크기 설정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 서울특별시 송파구 일반임기제공무원(5급, 의약과장) 채용 바로가기
  • [DHL Supply Chain] 도매약사 채용 (서울 장지/신입가능) 바로가기
  • 개발팀 RA 경력(3년↑) 채용 바로가기
  • 도매상 관리 약사님 모십니다. 바로가기
  • [한국글로벌제약] 의약품 제조업 개발팀 ( RA ) 팀원 모집 바로가기
  • 충북 음성 관리약사(제조/품질) 경력무관 바로가기
  • Specialist, External Communication Review and Medical Operation 바로가기
  • (주)보령 품질관리약사 채용 (예산캠퍼스) 바로가기
  • 개발본부(임상연구팀/RA팀/개발기획팀) 신입/경력 모집 바로가기
  • 제약사 마케팅 PM 경력직 채용 바로가기
  • 안산 QA 매니저(경력 3년↑) 채용 바로가기
  • 사업개발(BD) 담당자 채용의 건. 바로가기
  • 용인 백암공장 품질보증부(QA) 품질관리약사 신입 및 경력 채용 바로가기
  • [글로벌 제약사] Medical Science Liaison 바로가기
  • 완전 중심적인 경향이 강하고
    주변의 소국들에 은근히 압력을 주더라
    항상 그점을 엽두에 갖고 잇어야 한다고 생각
    21.03.24 09:38:17
    0 수정 삭제 0 0
0/300
 
메일보내기
기사제목 : 제약 해외법인 희비…중국·북미 울고 일본·동남아 웃고